깃허브에 커밋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는데,
- Github Desktop 을 설치하고 어플 같은 개념으로 사용하는 것.
- Visual Studio Code 에서 연동된 버튼을 사용하는 것.
- Git Bash (맥은 Terminal) 에서 명령어를 사용하는 것.
이 중에서 3번째가 가장 간편했다 (만약 잘 안다면...)
배운 명령어가 여러가
지 있는데 잊지 않기 위해서 남겨놔야겠다.
1. 새로운 Repository 만들고 깃허브에 push 하기
- 완전히 새로운 Repository 를 만들기 위해서는 우선 github.com 에서 새로운 Repository를 생성해야한다.
- Repository 를 생성했으면 Github 와 연동 할 폴더를 만들고 그 폴더 안에 들어가서 -> 오른쪽클릭 -> Git Bash
- 여기서부터 Git Bash 명령어 사용.
1. git init (git 디렉토리가 내 폴더를 보게 함)
2. git remote add origin 깃허브주소url
3. git add . (. :파일 전체 목록 중 변경사항 모두, 경로를 지정해줘도 됨.)
4. git commit -m "커밋 설명" ( 업로드 하면 파일 제목 옆에 붙어있는 그 설명)
5. git push origin ( 커맨드 창에 6번이 저절로 뜸 )
6. git push --set-upstream origin master (복붙 잘 안됨, 그냥 키보드로 입력할 것)
여기까지 했는데 잘 안된다면 위 순서 여러번 해보기.
2. 생성된 Repository에 commit, push하기
한번 레퍼지토리 생성한 다음부터는 이것만 하면된다.
1. git add .
2. git commit -m "커밋 설명"
3. git push
- 끝 -
아래는 1. 사진첨부
3. 연동된 폴더와 Repository 지우기
이 과정은 git bash (cmd)명령어와 삭제 기능을 둘다 써야 한다. 둘중에 하나로 전체를 해결 할 수 없음.
1. 삭제하고 싶은 폴더로 이동해서 우클릭, Git Bash 실행
---- 명령어 -----
2. git rm -rf . (삭제하고 싶은 폴더나 파일, 전체라면 . 입력)
3. git commit -m "remove file" 입력, 변경 내용 커밋
4. git push -u origin master (여기까지 했는데 안된거 같으면 2번부터 반복하면서 5번으로)
5. git push
------------------
6. 폴더 안에 파일들이 모두 지워졌으면 숨김파일 형식으로 된 .git 폴더를 지워준다.
(이거 지우면 폴더와 레퍼지토리 연동이 끊김, 생짜 파일로 돌아가는거임, 연동되지 않은 상태의 폴더는 남는다. 지우고 싶으면 지워도 깃허브에 영향없음.)
7. Githu -> Repositories -> 지우려는 레포지토리 -> setting -> 맨 하단 Delete this repository
= 끝 =

'👀 extr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우분투 리눅스 | 기본 명령어 ( vi 편집기 ) (0) | 2021.09.01 |
---|---|
리눅스 우분투 | 개념 정리 (with 위키) (0) | 2021.09.01 |
일기 | 오늘도 세시간 자겠군 (0) | 2021.08.27 |
단축키 메모 ( in Windows and MacOS ) (0) | 2021.08.04 |
코딩 기록기 | 코딩 기록 시작 (0) | 2021.08.03 |